top of page

최고를 추구합니다

KakaoTalk_20231006_150913206_edited.jpg

중랑천

중랑천은 서울특별시 북동부 일대와 성동구의 금호, 성수 부근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며, 하천의 길이는 299.6㎢로 서울 하천 중에서 가장 긴 하천입니다.

1970년대 이후 산업의 발달과 함께 중랑천 주변에 주택이 들어서면서 인구밀도가 높아지며, 점차 중랑천의 자연환경은 악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중랑천의 물은 바닥이 안보일 정도로 탁하고  오염이 심했지만, 2000년대 이후 하수처리장 설치와 폐수 처리 업체의 규제로 중랑천의 생태는 점점 회복되었습니다.

하천 바닥에 퇴적된 모래와 쓰레기를 파내면서 큰 비가 와도 범람하지 않았지만, 최근에 집중 호우로 인해 중랑천의 수위 상승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JungnangCheon

Jungnangcheon is a river that joins the Han Rive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Seoul, near Kumho and Seongsu in Seongdong-gu, and is the longest of Seoul's rivers at 299.6

Since the 1970s,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housing has been built around Jungnangcheon, increasing population density, and gradually the natural environment of Jungnangcheon began to deteriorate. The water in Jungnangcheon was so turbid and polluted that it was difficult to see the bottom, but since the 2000s, the ecology of Jungnangcheon has gradually recover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regul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companies.

By digging out the sand and garbage deposited at the bottom of the stream, it hasn't flooded even during heavy rains, but in recent years, the water level has been rising frequently due to heavy rains.

7월에 계속되는 장마로 인해 서울 전역에  호우경보가 내려지면서 서울 시내 주요 하천의 수위도 상승해 출입이 통제되었습니다.

노원구는 7월 13일부터 14일까지 누적 강우량이 197.5㎜로, 서울시에서 가장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노원구와 중랑구를 지나는 중랑천, 묵동천도 수위가 급격히 상승했고, 당현천, 우이천도 출입이 통제되고 있습니다.

계속된 비로 산사태 위험도 높아지고 있으며, 노원구는 공릉동, 상계동, 중계동 일대의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다고 안내했습니다.

 

In July, the ongoing rainy season led to heavy rain warnings across Seoul, causing water levels in the city's major rivers to rise and closing access.

 

Nowon-gu received the most rain in Seoul, with a cumulative rainfall of 197.5 mm from July 13 to 14. The water levels of Jungnangcheon and Mukdongcheon, which run through Nowon-gu and Jungnang-gu, have risen dramatically, and Danghyeoncheon and Uicheoncheon are also closed.

 

The risk of landslides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ed rain, and Nowon-gu has warned of a high risk of landslides in Gongneung-dong, Sanggye-dong, and Jangjeong-dong.

출처

서울 시내 주요 하천 수위 상승, 도림천·불광천·중랑천 등 출입 금지 (KBS뉴스 2020.08.03)

서울 출근길 비상…밤샘 폭우에 동부간선도로·잠수교 전면 통제 (이투데이. 2023.07.14)
 

2050년이 되면 여름 최고기온 평균이 35℃를 넘는 도시가  350개에서 970개로 늘어나고, 매년 전 세계 50억명 이상이 물 부족에 시달리고 폭염으로 연간 25만5000명이 사망한다는 예측됩니다.

 

또한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이면 아시아 지역에서 극단적인 강수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3~4배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By 2050, it is predicted that the number of cities with average summer high temperatures above 35 will increase from 350 to 970, that more than 5 billion people worldwide will face water shortages each year, and that heat waves will kill 255,000 people a year.

 

The McKinsey report also found that by 2050, Asia could be three to four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출처

아시아의 기후 위험 대응, McKinsey Global Institute)

2050 거주불능 지구, 데이비드 월러스 웰즈 지음
 

2100년 대한민국의 연평균 기온은 현재 수준(2023년 기준)보다 2.3~6.3℃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연평균 강수량은 현재 평균 강수량보다 4~16%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 및 기후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점점 상승하게 되어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이 2100년까지 지속될 경우, 2023년보다 해수면이 1.1m 높아지고, 아열대 기후 지역이 점차 영역이 확장하여 폭염∙열대야 등 기상이변이 전망됩니다.

이러한 기후 변화에 따라 여름 일수는 170일로 현재보다 약 2배 늘어나고 겨울 일수는 39일로 약 1/3배로 감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In 2100,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in South Korea is predicted to increase by 2.3 to 6.3℃ above the current level (based on 2023), and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is predicted to increase by 4 to 16% above the current average precipitation.  


In particular,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limate warming are causing sea levels to rise, and if current levels of carbon emissions continue through 2100, sea levels will be 1.1m higher than in 2023, and the subtropical climate zone will gradually expand, resulting in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As a result of these climate changes, the number of summer days is projected to increase to 170, about twice as many as today, and the number of winter days is projected to decrease by about one-third to 39.

출처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 대한민국정부, 2023

         기상청장 유희동 “한국 기온 상승폭 세계 평균의 3배, 2100년 되면 여름이 170일” (비즈니스포스트, 2023.04.11)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새로 개발한 기후모델로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해수면 변화를 예측한 분석을 통해 인류가 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이루지 못하면 2150년 남북극 빙상이 녹으며 해수면이 1.4m 가량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한국 국토의 0.5%가 침수되는 것으로 분석하며 2m 가량 상승할 경우 0.9%가 잠길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해수면 1.4m 상승 결과는 인천·부산 등 해안도시가 일부 잠길 수 있다는 의미이며, 전세계적으로 볼 때  1m 해수면이 상승하면 4억명 가량의 인구가 해수면 상승의 피해를 받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The Axel Timmermann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IBS) has released an analysis that predicts sea level change due to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a newly developed climate model, which suggests that sea levels could rise by 1.4m in 2150 due to the melting of the North and South polar ice sheets if humanity fails to meet its carbon emission reduction targets. 

 

Recent studies have analyzed that a 1m rise in sea level would inundate 0.5% of South Korea's land mass, and a 2 meter rise would submerge 0.9%.

 

A 1.4m sea level rise would mean that coastal cities such as Incheon and Busan could be partially submerged, while globally, a 1m sea level rise is predicted to affect 400 million people.

출처

"탄소감축 못하면 빙상 녹으며 2150년 해수면 1.4m 상승"(동아사이언스, 2023.0215))

2050 거주불능 지구, 데이비드 월러스 웰즈 지음
 

FROM 2023 TO 3023

《FROM 2023 TO 3023》은 과학이 예측할 수 없는 먼 미래, 4천년기의 서울특별시 하천, 중랑천의 식물을 다룬 프로젝트입니다. 

 

지구온난화를 막지 못한 2150년 이후 남해의 해수면이 점차 상승해 인천을 비롯해 김포, 서울의 한변까지 잠기게 되었습니다.

장기간의 여름으로 의해 홍수와 장마가 빈번하게 발생해, 2300년의 중랑천은 21세기의 모습이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강물이 불어나게 되었습니다. 서울 주변에 잠긴 도시에서 나온 쓰레기, 침전물들과 더불어 수질오염도 증가해 영향을 끼치며 오염된 하량이 중랑천에 축적되어갔습니다. 오염수의 침전 토사물과 식물의 부패로 중랑천의 색은 불투명한 붉은색을 띠게 되었습니다.

 

 

2300년 이후 수많은 세기를 거쳐 중랑천 주변에서 자라나는 식물은 자연의 생활 조건 속에 생존하기 위해 유리한 형질을 후대 식물에게 전하며 대를 이어갔습니다. 중랑천이라는 서식지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무분별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미래 기후 환경에 생존하기 위해 중랑천의 환경에 맞게 진화했습니다.

FROM 2023 TO 3023 is a project about the plants of Jungnangcheon, a river in Seoul, in the 4th millennium, a distant future that science cannot predict. 

 

After 2150, if global warming is not prevented, the sea level of the Namhae Sea will gradually rise, submerging Incheon, Gimpo, and one side of Seoul.

 

 

Prolonged summers led to frequent floods and rainy seasons, and by 2300, the Jungnangcheon River was swollen to the point where it was unrecognizable from the 21st century. Increased water pollution, along with garbage and sediment from the submerged cities around Seoul, was also having an impact, causing polluted sewage to accumulate in the river. The settling silt and decaying plants in the polluted water gave the stream an opaque reddish color.

그림1.png
SKMBT_C36023111410470.png
그림5.png
포스트잇.png
식물연구1.png
식물연구2.png
그림1.png
그림3.png
KakaoTalk_20231116_154110979_02.jpg
KakaoTalk_20231116_154110979_01.jpg

갈풀
(Phalaris arundinacea L.)

1번 그림.png

2023

랑천의 물가에서 자라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합니다. 

줄기는 가늘고 단면은 둥글며, 높이는70∼180cm까지 자랍니다.

잎은 밝고 옅은 녹색이며 길이는 20∼30cm이, 꽃은 6월에 피는데 이삭 모양의 형태로 가지 끝에 피며 길이는 10~17cm이고 엷은 녹색입니다. 

호영(꽃을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껍질)은 잔털이 있습니다. 

열매는 10월에 익으며, 소 먹이 풀로 많이 이용됩니다. 

It grows at the water's edge in the Zhonglang River and reproduces by rhizomes that extend laterally. 

    
The stems are slender, rounded in cross-section, and grow to a height of 70 to 180 cm. The leaves are bright, pale green and 20 to 30 cm long, and the flowers, which bloom in June, are spikelet-shaped and borne at the ends of the branches and are 10 to 17 cm long and pale green. The carpels (the paired sepals that support the flowers) are hairy. 

 

The fruit ripens in October and is a popular fodder for cattle.
 

2223

계속되는 물가의 범람과 바람에 맞서기 위해, 줄기는 두꺼워지고 짧아졌습니다.

​가로로 자라는 뿌리는 바람에 꺾이지 않기 위해 길이가 길어지며 땅속 깊게 자라며 줄기의 가락은 50가지로 늘어납니다.

잎은 마모되어 사라졌으며, 꽃은 6월에 피는데, 햇빛이 나오는 시기가 짧기 때문에 2-3일 내지로 빠르게 져버립니다.

 

호영(꽃을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껍질)은 줄기와 함께 퇴화되었으며, 잎은 이삭 모양의 발아된 형태가 촘촘히 모여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며 총 길이는 약 80cm이고 진한 녹색을 띱니다. 

​종자를 가지​고 있는 열매는 솜털과 같은 관모 형태입니다.

To combat the constant flooding and winds at the water's edge, the stems thickened and shortened.

 

The roots, which grow horizontally, lengthen and grow deeper into the ground to resist the winds, and the stem grows to 50 branches.

The leaves have worn off and disappeared, and the flowers bloom in June, but because of the short periods of sunlight, they fade quickly, within two to three days.

 

The calyx (the pair of bracts that support the flowers) has degenerated along with the stem, and the leaves are spikelet-shaped, germinated forms that form a tightly clustered mass, about 80cm long and dark green in color. 

 

The seed-bearing fruit is a downy tubular hair.

2번 그림.jpg
4번 그림.png

2523

물 밑으로 자라기 시작하면서 침수 식물로 진화하게 됩니다.
 
수중에서 영양분과 빛으로 자라며 잎과 열매의 외벽은  단단해지고 줄기는 더욱 짧아져 잎과 열매 뿌리의 구조로 보입니다.
 
뿌리는  최대 길이 500cm까지 자라고 표면에는 검은 수염이 자라 기체가 유통할 수 있는 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잎은 물살에 견디기 위해 외벽이 단단하며 어두운 진녹색입니다. 꽃은 5~6월에 피며, 열매는 8~9월에 익습니다. 여러 개의 반구 덩어리가 촘촘한​ 형태로 모여있으며, 가운데로 들어가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잎과 열매의 덩어리의 높이는 최대 300cm까지 자랍니다.

 

As it begins to grow under water, it evolves into a submerged plant.


As they grow with nutrients and light underwater, the outer walls of their leaves and fruits harden and their stems become shorter, giving the appearance of a root structure.


The roots grow up to 500cm in length and develop black whiskers on the surface that allow gases to circulate.


The leaves have a hard outer wall to resist water currents and are dark dark green in color. The flowers bloom in May and June, and the fruit ripens in August and September. The clump of leaves and fruit grows up to 300cm in height.

3023

타원형의 열매 표면은 더욱 단단해져 외부 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진화합니다. 높이는 500cm까지 자라며 열매의 표면에는 빨판과 같은 작은 원들이 촘촘한 배열을 이루고 있습니다.

뿌리는  최대 길이 800cm까지 자라고 표면에는 검은 수염이 자라 기체가 유통할 수 있는 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식물은 빛과 용존산소, 영양분 등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조류(algae)의 대량 발생을 저해할 수 있도록 진화합니다. 또한 바람에 의해 야기되는 물의 움직임을 줄이면서, 침전물이 재부유되는 현상을 줄여 물의 탁함을 줄여줍니다.

The surface of the long, oval fruit evolves to become harder and more resistan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grows up to 500cm in height, and the surface of the fruit has a dense arrangement of small circles like suckers.

The roots grow up to 800cm in length and develop black whiskers on the surface that allow gases to circulate.

 

Plants have evolved to inhibit the growth of algae by capturing elements essential to their survival, such as light,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They also reduce the movement of water caused by wind, reducing the resuspension of sediment and thus reducing water clarity.

5번그림.png
bottom of page